안녕하세요:) 오늘은 드럼의 리듬단 변화를 주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입문자의 경우 8마디를 만들어도 완곡까지 가는 경우가 힘들 겁니다.
곡의 구성을 제대로 이해하셨다면 리듬단을 어떻게 배치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Snare 리듬 변화
Snare를 찍을 때 2가지의 기본 리듬이 있습니다.
2/4리듬과 하프리듬의 기본 리듬을 가지고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한 마디 안에서 2/4리듬은 Snare가 2개, 하프리듬은 1개입니다.
상대적으로 2/4리듬이 더 빨라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16마디의 Verse를 8마디씩 하프리듬과 2/4리듬으로 배치하면
Verse의 변화되는 느낌을 만들 수 있습니다.
Drum 리듬 변화
Snare를 제외한 Kick, Hihat, Percussion의 리듬변화를 생각하기 전에
트랙의 변화를 가장 크게 느끼기 위해서는 저음역대보다 중고음역대의 변화를 주는 게 효과적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Kick으로 변화를 주는 것보다 Hihat이나 Percussion으로 변화를 주는 게 좋습니다.
그래서 Kick의 경우에는 16마디를 그대로 가는 경우도 있지만
그래도 변화를 주기 위해서 8마디는 Kick이 없이 진행하다 뒤의 8마디에서 나오는 편곡을 하기도 합니다.
"Hihat의 리듬 변화"는 먼저 찍어놓은 8마디를 그대로 뒤에 붙이고 더 추가하거나 빼는 방법이 있습니다.
"Percussion의 리듬 변화"는 다른 패턴의 오디오 샘플을 추가하는 게 좋습니다.
Verse, Pre Chorus
위의 리듬패턴을 만들었다면 이번에는 Verse와 Pre Chorus의 느낌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Verse는 만들어 놓은 리듬패턴으로 사용해 보겠습니다.
Pre Chorus는 Verse와 Chorus를 연결하는 역할을 해야하므로
"Pre Chorus"가 시작할때는 빠른 리듬으로 시작한다기 보다는
천천히 풀어주다 뒤의 5~8마디에 점점 고조되는 느낌의 리듬단을 만드는 게 좋습니다.
이러한 구간은 "Build Up" 구간이라 하는데
아래 사진과 같이 한번 연습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2절까지의 리듬단을 만들어보겠습니다.
항상 Reference 곡을 참고해서 연습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만약 궁금한 점이 있거나, 잘못된 설명을 발견하시면 댓글로 질문해 주세요.
레슨 문의 : [카카오톡] WUD.0212